2025. 7. 3. 16:26ㆍ차트의 기본
지지선, 저항선
1. 고점을 찍고 떨어지거나 저점을 찍고 반등했거나 가장 많이 머물렀던 지점을 지지선, 저항선으로 활용한다.
2. 차트의 범위를 바꾸면 지지선과 저항선도 달라진다.
3. 단기거래 투자자일수록 차트의 범위를 짧게 잡고 지지선, 저항선을 설정한다.
4. 차트의 범위를 넓혔을 때의 지지선, 저항선은 더 강한 지지와 저항을 받는다.
5. 지지선은 저항선이 될 수 있고, 저항선은 지지선이 될 수도 있다.
6. 지지선, 저항선을 비롯해 여러 지표와 거래량이 동시에 확증을 줄수록 거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
7. 저항선은 상향 돌파 시 매수, 지지선을 하향 돌파 시 매도한다. 저항선은 현재 가격대보다 위에서 형성되고, 지지선은 현재 가격대보다 아래에서 형성된다.
8. 지지선, 저항선 설정 방법
예시는 데이~스윙(3~7일) 거래를 기준으로 한다. 스캘핑(하루에 수십 번 이상 거래) 또는 중장기(1개월 이상) 기준의 경우 기간을 더 좁히거나 넓혀서 본다.
9. 1H, 1D 봉으로 가격대 확인하고 저항선과 지지선 만들기
어디까지 오르고 내릴지 먼저 보자. 시간봉과 일봉으로 보는 이유는 저항선, 지지선을 그리고 거래목표치를 정하기 위해서다. 상승장의 경우 전고점을 확인할 수 있을 때까지 차트를 점점 넓힌다. 1H봉으로 전고점 확인이 불가능할 경우, 즉 현재 가격이 최고점일 경우 2H, 4H로 범위를 넓혀 전고점을 확인한다.
가격대가 특정 가격에 도달하고 내려온 가격을 저항선, 특정 가격을 찍고 올라온 가격을 지지선으로 잡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투자자들이 차트를 활용해 지지선을 보고 거래하는 심리적인 측면과 차트가 일정주기로 반복되는 특징 때문이다.
지지선과 저항선은 투자자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판단하면 좋다. 횡보한 구간에서 가격이 지지되거나 저항에 부딪힐 수 있음을 항상 거래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한다.
트레이딩뷰에서 차트 분석툴을 이용해 자동으로 지지선, 저항선이 차트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설정하는 자세한 방법은 카톡이나 텔레그램으로 문의.
텔레그램 : t.me/k24479544
카톡 : http://qr.kakao.com/talk/GEpo4ASY_DDckopFxcSFBs0fQ.Q- (← 해당링크를 누르면 카톡으로 연결됩니다)
'차트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턴을 몰라도 수익을 내는 비결 (2) | 2025.07.08 |
---|---|
상승추세선, 하락추세선 (0) | 2025.07.07 |
차트 분석의 본질 이해하기 (0) | 2025.03.18 |
이동평균선 (0) | 2025.01.10 |
손익비 좋은 구간이란 (0)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