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7. 23. 12:34ㆍ트레이딩 기법
비트코인 시세가 이르면 몇 주 안에 역대 최고 수준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미국 인플레이션 완화로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으나 현재 시장에는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입니다.
금리 인하는 달러 인덱스 하락을 촉발하고 리스크성 자산의 가격 상승을 촉발합니다.
왜냐면 미국의 금리가 인하되면 상당한 자본금이 안전자산인 미국달러에서 리스크성 자산으로 흘러들어 가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이론은 연준위 관료들이 연내에 금리인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발표했을 때, 금값, 은값, 비트코인 가격이 상방추세에 들어섰는지를 설명해 줍니다.
이러한 리스크성 자산들은 모두 미국달러에 페깅 되어 있으며, 미국달러의 약세는 여타 다른 통화들과 같이 원자재 가격의 상당한 상승을 초래하곤 합니다.
페깅 (pegging)이란, 어떤 자산이 다른 자산을 따라가 가격이 고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 은, 비트코인이 미국달러에 페깅 되어 있다는 사실은 음의 상관관계를 형성하여 서로의 가격에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만들었습니다.
즉, 달러 인덱스가 상승하면 이 자산들은 가격이 하락하고 그 반대도 성립한다는 점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율이 높을 때 혹은 연준위가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때에만 이러한 리스크성 자산들에 뛰어들곤 합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금, 은, 비트코인을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징 수단으로 여기곤 합니다.
반면, 연준위가 고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감행할 때에는 금, 은, 비트코인은 더 이상 헤지용 수단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달러 인덱스가 금, 은,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
앞서 달러 인덱스는 금, 은, 비트코인과 상호 음의 상관관계를 지니는 금융상품이라 설명한 바 있습니다.
그 말인즉슨 달러 인덱스가 상승하면 투자자들은 금, 은, 비트코인의 대대적인 하락을 예측하고, 그 반대도 성립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달러 인덱스가 약세로 접어들어야지만 금, 은,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를 시작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금, 은, 비트코인 전망
연내에 보다 공격적인 금리인하가 진행될 것이라는 뉴스로 인해 시장이 리스크성 투자에 관심을 가지면서
금, 은, 비트코인은 현재의 상방추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코인에 대한 관심과, 미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 소식은 분명히 코인에 큰 호재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ETH ETF 출시가 확정되면서, ETF 전문가들은 향후 몇 년 안에 비트코인이 20만 달러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세웠습니다.
(현재 약 4만 6천 달러)
그런데 이게 아무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니었습니다.
20년 전,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금 ETF 'SPDR골드셰어즈(GLD)'는 2004년 출시 3일 만에 1조 원가량의 투자금이 몰렸고, (비트코인은 1일 만에 6조 원)
현재는 약 77조 원 규모의 초대형 ETF로 성장했다는 것입니다.
또한 금 ETF가 등장한 이후 실물자산이었던 금값도 가파르게 올랐는데,
SPDR 골드쎼어즈 출시 당시 온스당 430$에 불과하던 금값이 3년 뒤, 두 배로 뛴데 이어 현재는 2000$를 기록했습니다.
ETF가 나오게 되면 거래를 주관하는 금융기관은 일정 규모만큼의 실물자산을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금융기관이 본격적으로 실물자산을 사들이기 시작하면서 실물자산의 가격 또한 오를 거란 논리입니다.
이러한 논리로 SC은행은 올해 말 비트코인 가격 전망치를 10만 달러(약 1억 3100만 원)에서 12만 달러(1억 5700만 원)로 상향 조정했고, 내년 말까지 20만 달러 (2억 6200만 원)로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현재 $68k 에서 숨 돌리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 추세가 계속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트레이딩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BX와 CE를 활용한 매매 방법 (0) | 2024.08.05 |
---|---|
추세 매매법 Chanderlier Exit, Stochastic (0) | 2024.07.31 |
EMA 전략 (1) | 2024.07.19 |
승률과 손익비에 대해서 (4) | 2024.07.16 |
B-Xtrender 사용법 (0) | 2024.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