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파, 매파적 발언이란?
2024. 12. 18. 10:54ㆍ트레이딩 기법
728x90
"비둘기파적 발언"과 "매파적 발언"은 중앙은행,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에 대해 언급할 때 자주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두 용어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을 설명하며, 경제와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냅니다.
1. 비둘기파적 발언 (Dovish)
- 정의: 경제 성장을 우선시하며, 금리를 낮추거나 유동성을 늘리는 정책을 지지하는 입장입니다.
- 의미: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인플레이션 억제) 보다 경기 부양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신호를 시장에 전달합니다.
- 특징:
- 금리 인하 또는 동결을 지지.
- 완화적인 통화정책(돈을 더 풀어 경기를 활성화).
- 유동성을 늘려 투자와 소비를 촉진.
- 시장 반응:
- 위험 자산(주식, 암호화폐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금리가 낮아지면 투자 매력도가 높아지고, 자산 가격 상승 가능성이 커짐.
- 달러 약세로 이어질 가능성.
예시
- "현재 경제 상황이 약화되고 있어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 "물가 상승률이 안정되고 있으며, 금리를 낮출 여지가 있다."
2. 매파적 발언 (Hawkish)
- 정의: 인플레이션 억제를 우선시하며, 금리를 인상하거나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지지하는 입장입니다.
- 의미: 경제가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중앙은행이 강경한 통화정책을 펼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신호를 전달합니다.
- 특징:
- 금리 인상을 지지.
- 긴축적인 통화정책(돈줄을 죄어 물가 상승 억제).
- 유동성을 줄여 경제 과열을 방지.
- 시장 반응:
- 위험 자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금리가 올라 자금 조달 비용 증가, 투자 매력도 감소.
- 달러 강세로 이어질 가능성.
예시
- "현재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초과하고 있으므로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
- "경제 성장을 희생하더라도 물가 안정을 달성해야 한다."
3. 비둘기파와 매파의 차이
구분 비둘기파(Dovish) 매파(Hawkish)
목표 | 경기 부양 | 인플레이션 억제 |
정책 방향 | 금리 인하 또는 동결 | 금리 인상 |
경제 전망 | 경제 약세 우려 | 경제 과열 우려 |
시장 반응 | 자산 가격 상승(암호화폐, 주식 등) | 자산 가격 하락(달러 강세로 이어질 가능성) |
유동성 | 증가(자금이 풀림) | 감소(자금이 회수됨) |
4. 금리 동결과 연계한 발언 예시
- 비둘기파적 동결:
- "현재 금리를 동결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가까워지고 있어 금리 인하를 검토할 수도 있다."
- 결과: 투자자들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기대하며 시장에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음.
- 매파적 동결:
- "금리는 동결하지만, 여전히 물가 상승 압력이 남아 있어 필요하면 추가 금리 인상을 검토할 것이다."
- 결과: 시장은 불확실성을 느끼고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음.
5. 암호화폐 시장과의 연결
- 비둘기파적 발언:
- 유동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투자 심리가 강화되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같은 암호화폐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큼.
- 매파적 발언:
- 유동성이 축소되고, 위험 자산에 대한 매력이 감소해 암호화폐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음.
728x90
'트레이딩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곤 코인의 전망 (3) | 2024.12.18 |
---|---|
미국 금리 결정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 (2) | 2024.12.18 |
차트 일목 균형표, 구름대 지표 (0) | 2024.12.13 |
스토캐스틱 (0) | 2024.12.12 |
리플 XRP 투자 전략 (1) |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