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린저 밴드 사용법 1

2024. 4. 24. 11:34트레이딩 기법

728x90
목차
1. 볼린저밴드란 

2. ​설정법​

3. 사용방법 1. 상한선 닿으면 매도 (주가하락) / 하한선 닿으면 매수 (주가상승)

 

 

볼린저밴드란 
Bollinger - 볼린저가 만든
Bands -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밴드

 

볼린저밴드는 표준정규분포의 원리를 적용한 밴드입니다.

정규분포의 50%가 되는 기준선은 이동평균선이고

+ 상하한 변동폭은 이동평균선의 표준편차로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을 활용한 게 볼린저 밴드다.

볼린저 밴드의 상한선은 20일 이평선값 + 20일 동안의 주가 표준편차값 x 2

볼린저 밴드의 하한선은 20일 이평선값 - 20일동안의 주가 표준편차값 x2

즉, 주가가 올라서 밴드의 상한선에 도달했다? > 주가가 내려갈 확률이 높겠구나

주가가 내려서 밴드의 하한선에 도달했다? > 주가가 올라갈 확률이 높겠구나

라고 판단하여 매수 매도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죠.

밴드는 상황에 따라 위아래로 넓게 퍼지기도하고, 좁아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밴드 폭이 바로 주가의 변동폭을 나타냅니다.

"넓어진다는건 주가가 크게 진동할 수 있겠다. 좁아진다는 건 주가의 움직임이 거의 없겠다"

 

 

​​설정법​

볼린저 밴드 켜서 설정의 인풋 카테고리에 들어가면

길이와 표준편차 등등 몇가지 입력창이 나옵니다.

길이는 아까 말했던 이동평균선의 길이고,

표준편차는 진폭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표준편차입니다.

지표나 이평선 등등 매매에 활용하는 수단은

결국 대중의 심리를 읽고 매매에 참고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의도가 있지 않은 이상, 내버려 두는 게 낫습니다.

사실 남들이 다 보는 지표를 같이 보고 내 나름대로 활용하는 방식에 차이를 둬야지

남들 아무도 안보는 지표를 혼자 만들어서

혼자만 보고 판단하는건 굉장히 위험한 행동입니다.

(초고수가 되어서 개인적인 지표를 만들어보는 것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요​)

 

사용방법 1. 상한선 닿으면 매도 (주가하락) / 하한선 닿으면 매수 (주가상승)

 

볼린저 밴드의 정의를 이용한 정석적인 이용방법입니다.

 
90% 확률로 상단선 하단선 터치시 추세전환이 되는 모습입니다.

볼린저밴드의 특성은

사실 특정 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도 없는 것이

특정 상황이 연출되지 않는 이상 거의 다 맞아 떨어집니다.

볼린저밴드를 켜고 테스팅을 하면,

위 차트처럼 90%는 상한선에 닿으면 떨어지고, 하한선에 닿으면 올라갑니다.

볼린저밴드가 대단하다기보단

이동평균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공식이기 때문에 당연한 일입니다.

 

파동을 제대로 이해한 볼린저가

공식을 잘 만들어놨기 때문이죠.

그럼 주의사항 2편을 보실까요?

728x90

'트레이딩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I 보조 지표 사용법  (0) 2024.05.03
볼린저밴드 사용법 2  (0) 2024.04.24
차트 내 추세선 긋는 법 및 쉽게 보는 법  (0) 2024.04.24
거래량 분석  (0) 2024.04.17
캔들 차트 분석  (0) 2024.04.16